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자동 완성 열기

검색어 자동완성 목록

    고급검색

    다른 검색도 이용해 보시겠습니까?
    • 국가자료종합목록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이자 도서관 간 정보 공유 및 상호 협력 네트워크입니다.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전국의 고전적 소장처를 연계하여 한국 고전적에 대한 목록, 해제, 원문 등을 제공합니다.
    • 온나루 통합검색 국립중앙도서관 및 외부 연계 시스템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QUICK MENU

    디지털컬렉션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디지털화 자료 중 가치 있는 지식문화자원을 선별, 콘텐츠로 구축하여 제공합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희귀본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국보, 보물급 소장자료 등 희귀본(old and rare book)

    전체

    4
    • 지도 [지도] 천하지도(天下之圖)

      본 지도는 1책(冊) 13장(張)으로 된 지도책이다. 동람도류이며 조선 시대 민간에서 가장 많이 소장한 일반적인 지도책이다. 제1면은 보천지하지도(普天之下地圖), 제2면은 중국지도(中國地圖), 제3면은 조선국(朝鮮國) 전도, 제4면은 일본국지도(日本國地圖), 제5면은 유구국지도(琉球國地圖)이다.

    • 地全圖)
      지도 [지도]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

      1장으로 된 목판 지도이다. 대개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를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로 착각하는데 두 지도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지만 「대동여지전도」는 「대동여지도」의 축소판(縮小版)이 아니다. 증빙할 자료가 없지만, 이 지도도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 圖)
      지도 [지도] 조선팔역도(朝鮮八域圖)

      본 지도는 채색 필사본 지도로 1장이며 동국지도류의 대형지도이다. 도로는 사대로(四大路)와 군현로(郡縣路) 두 가지로 구분(區分)되어 있다.

    • 지도 [지도] 해좌전도(海左全圖)

      해좌(海左)는 해동(海東)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별칭이다. 이는 중국을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중국의 바다 동쪽에 있으며 또한 바다의 좌측에 우리나라가 있다는 의미이다.

    • 지도 [지도] 천하지도(天下之圖)

      본 지도는 1책(冊) 13장(張)으로 된 지도책이다. 동람도류이며 조선 시대 민간에서 가장 많이 소장한 일반적인 지도책이다. 제1면은 보천지하지도(普天之下地圖), 제2면은 중국지도(中國地圖), 제3면은 조선국(朝鮮國) 전도, 제4면은 일본국지도(日本國地圖), 제5면은 유구국지도(琉球國地圖)이다.

    • 地全圖)
      지도 [지도]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

      1장으로 된 목판 지도이다. 대개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를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로 착각하는데 두 지도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지만 「대동여지전도」는 「대동여지도」의 축소판(縮小版)이 아니다. 증빙할 자료가 없지만, 이 지도도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 圖)
      지도 [지도] 조선팔역도(朝鮮八域圖)

      본 지도는 채색 필사본 지도로 1장이며 동국지도류의 대형지도이다. 도로는 사대로(四大路)와 군현로(郡縣路) 두 가지로 구분(區分)되어 있다.

    • 지도 [지도] 해좌전도(海左全圖)

      해좌(海左)는 해동(海東)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별칭이다. 이는 중국을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중국의 바다 동쪽에 있으며 또한 바다의 좌측에 우리나라가 있다는 의미이다.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