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자동완성 목록

    고급검색

    다른 검색도 이용해 보시겠습니까?
    • 국가자료종합목록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이자 도서관 간 정보 공유 및 상호 협력 네트워크입니다.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전국의 고전적 소장처를 연계하여 한국 고전적에 대한 목록, 해제, 원문 등을 제공합니다.
    • 온나루 통합검색 국립중앙도서관 및 외부 연계 시스템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QUICK MENU
    1899 1899
    작품
    • 신문: 황국협회 홍중섭 『시사총보』 창간(1.20),《독립신문》 폐간(12.4)
    사건
    • 서대문↔청량리간 전체궤도 완공(5.4)
    • 인천↔노량진 간 철도 개통(최초의 철도)(9.18)
    1900 1900
    사건
    • 한강철교(7.5), 경인철교 완전개통(11.12)
    • 최초로 경인간 시외 전화 개통(7월)
    1902 1902
    작품
    • 신문: 《황성신문》에 「국문선확장」 발표, 《황성신문》휴간
    사건
    • 최초의 서양식 극장 협률사에서 〈소춘대유희〉공연(12.?)
    • 국가 제정(에케르트 작곡)(8월), 출판법공포(허가주의 채택)
    • 국문학교 설립(김가진, 지석영 등)
    1903 1903
    사건
    • 러시아, 용암포 간에 전선을 가설하고, 용암포의 조차를 요구(7.8)
    • 친목회 조직(안창호, 이대위 등, 샌프란시스코, 9.23), 황성기독교 청년회(YMCA) 창립(10.8)
    1904 1904
    작품
    • 신문: 『The Korea Daily News』, 『대한매일신보』, 『신조신문』, 『매일신보』창간
    사건
    • 한일의정서 조인(2.23)
    • 용암포 개항(3.21)
    • 진보회 조직(이용구, 8.16)
    • 이용구, 송병준 등 유진회와 진보회 통합, 일진회 조직(9월)
    • 경부철도 완공(11.10)
    • 러일전쟁 발발
    1905 1905
    작품
    • 소설: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거부오해」 등 발표
    사건
    • 한일협상조약(제2차 한일협약, 을사조약, 5조약) 조인(통감정치 실시, 외교권 박탈)(11.7)
    • 손병희,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12.1)
    1906 1906
    작품
    사건
    • 대한자강회 조직(윤효정, 장지연 등, 3.31)
    1907 1907
    사건
    • 국채보상운동 발기(대구, 1.29)
    • 학부에 국문연구소 설치(소장 윤치오, 7.8)
    • 신문지법(광무신문지법) 제정(7.14)
    • 한일 신협약 조인(차관정치 시작)(7.24)
    • 광문 신문법 제정(7.24)
    • 군대해산조치(8.1 해산식 거행)(7.24)
    • 항일 비밀결사 신민회 조직(안창호, 이갑, 양기탁 등, 9월)
    1908 1908
    작가[사망]
    사건
    • 기호흥학회 설립(정영택, 이우규, 이재익 등, 전영정, 1.19)
    • 연극장 원각사 개설(이인직, 박정동 등, 7.26)
    • 최초의 신극 <은세계> 공연(이인직, 원각사, 11.11)
    • 동양척식회사 설립(12.28)
    1909 1909
    작품
    사건
    • 출판법 공포(출판물의 원고 검열 및 배일적 압수)(2.23)
    • 이토히로부미 암살(안중근, 하얼빈, 10.26)
    1910 1910
    작가[사망]
    작품
    사건
    • 출판규칙 발표(한인에 대하여 계출주의 채택)(5.?)
    • 한일 합방 조약 공포, 조선총독부 설치(8.29)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관제 공포(토지조사사업 시작)(9.30)
    • 조선광문회 발족(최남선, 10.10)
    • 회사령 공포 시행(12.29)
    1911 1911
    사건
    • 경무 총감부, 안명근의 체포를 계기로 황해도 일대의 민족주의자 총검거 시작(안악사건, 105인 사건)(1.1)
    • 재동경한국인유학생학우회 창립(10.27)
    1912 1912
    사건
    • 이문회 조직(경학과 시문 연구 단체)(회장 박제순, 1.7)
    • <육혈포 강도>, <군인의 기질>, <친구의 형 살해> 공연(혁신단, 연흥사, 2.18~2.21)
    • <지성감천> 공연(조중환의 혁신선민단 주최, 단성사, 2.19)
    • 문수성 창립(윤백남, 조장환), <불여귀>공연(덕부로화)
    • 전국 토지 소유 관계를 토지 조사국에 신고토록 지시(7.20)
    1913 1913
    사건
    • 소설 「혈의 누」 공연(유일단, 연흥사, 1.?)
    • 신문연재소설 「쌍옥루」 공연(혁신단, 연흥사, 4.29)
    • 흥사단 조직(안창호, 송종우 등, 샌프란시스코, 5.13)
    1915 1915
    작품
    사건
    • 신한혁명당 조직(유동열, 박은식, 신규식, 이상설 등, 상해, 3.?)
    1916 1916
    작가[사망]
    작품
    사건
    • 예성좌, 문수성, 혁신단 등의 단성사 합동공연(최초의 대규모 신판 연극)(6.2)
    • 일육군 대장 장곡천호도(長谷川好道), 조선총독부에 임명됨(10.16)
    1917 1917
    작품
    사건
    • 광복단 각지의 부호들에게 국권 회복 운동 자금을 요구하는 통고문을 보냈다가 발각됨(광복단 사건)(10월)
    1918 1918
    작품
    사건
    • 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 완료(6.18)
    1919 1919
    작품
    사건
    • 동경 유학생 600여명,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독립선언서 발표(2.8)
    • 민족대표 33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 서울 탑골공원을 정점으로 독립요구 시위 계속, 각지에 파급(3ㆍ1독립운동)(3.1)
    • 민족운동지도자 30여명, 상해 프랑스조계 금신부로(金神父路)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개원,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임시 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4.10~11)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