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작가/작품정보
1917
1917년
작품
- 소설: 김명순 「의심의 소녀」, 이광수 「무정」, 「개척자」, 「소년의 비애」, 현상윤 「광야」 등 발표, 이상협 『눈물』(동아서관), 이종린 『홍루지』(회동서관) 등 발간
- 평론: 이광수 「천재야!천재야!」(학지광)
- 잡지: 『반도시론』(반도시론사), 『여자계』(여자계사), 『조선문예』(조선문예사)
사건
- 광복단 각지의 부호들에게 국권 회복 운동 자금을 요구하는 통고문을 보냈다가 발각됨(광복단 사건)(10월)
1918
1918년
작품
- 소설: 나혜석 「정순」 등 발표, 심천풍 『형제』(영창서관), 이광수 『무정』(광익서관), 이상협 『무궁화(상)』(신문관), 이해조 『홍장군전』(오거서창), 최찬식 『삼강문』(덕흥서림) 등 발간
- 평론: 이광수 「자녀중심론」, 한용운 「조선청년과 수양」 등 발표
사건
- 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 완료(6.18)
1919
1919년
작품
- 소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마음이 옅은 자여」, 윤백남 장편 「몽금」 등 발표,전영택 「운명」, 김교제 『쌍봉쟁화』(보문관), 김이태 『강상루』(대창서원), 최찬식 『능라도』(유일서관) 등 발간
- 시: 주요한의 「불놀이」를 『창조』 창간호에 발표(2.1)
- 평론: 김동인 「소설에 대한 조선사람의 사상을」 발표
- 희곡: 최승만 「황혼」 발표
- 잡지: 『신청년』(영풍서관),
사건
- 동경 유학생 600여명,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독립선언서 발표(2.8)
- 민족대표 33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 서울 탑골공원을 정점으로 독립요구 시위 계속, 각지에 파급(3ㆍ1독립운동)(3.1)
- 민족운동지도자 30여명, 상해 프랑스조계 금신부로(金神父路)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개원,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임시 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4.10~11)
1920
1920년
작품
- 소설: 현진건 「희생화」 등 발표, 이상협 『해왕성』(회동서관) 등 발간평론: 김동인
- 「제월씨의 평자적 가치」, 「제월씨에게 대답함」, 「자기의 창조한 세계」, 염상섭 「여의 평자적 가치를 논함에 답함」, 「폐허에 서서」 등 발표
사건
- 예술학원 설립(추후 무대예술연구회로 발전)(현철, 2.?)
- 극예술협회 조직(동경유학생 홍해성, 김우진, 조명희, 유춘섭, 최승일 등, 3.?)
- 조선청년회연합회 조직(12.1)
1921
1921년
작품
- 소설: 김동인 「목숨」, 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현진건 「술 권하는 사회」, 「빈처」 등 발표
- 시: 김억,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광익서관) 등 발간
- 평론: 염상섭 「저수하에서」,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민족과 예술」,이광수 「문사와 수양」, 현철 「현당극담」 등 발표
- 잡지: 『장미촌』(장미촌사)
- 소설: 김동인 「목숨」, 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현진건 「술 권하는 사회」, 「빈처」 등 발표
- 시: 김억,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광익서관) 등 발간
- 평론: 염상섭 「저수하에서」,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민족과 예술」,이광수 「문사와 수양」, 현철 「현당극담」 등 발표
- 잡지: 『장미촌』(장미촌사)
사건
- 조선여자기독청년회 조직(YMCA)(황신덕 등, 동경, 5.7)
- 이만 시에 집결한 한국독립군 270명 전사, 900여 명 포로가 됨(흑하사변)(6.28)
- 조선어연구회 창립(김윤경, 장지영, 이병기, 최두선 등 16명, 휘문 의숙,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