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자동완성 목록

    고급검색

    다른 검색도 이용해 보시겠습니까?
    • 국가자료종합목록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이자 도서관 간 정보 공유 및 상호 협력 네트워크입니다.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전국의 고전적 소장처를 연계하여 한국 고전적에 대한 목록, 해제, 원문 등을 제공합니다.
    • 온나루 통합검색 국립중앙도서관 및 외부 연계 시스템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QUICK MENU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전소설과 디지털 기술의 만남, 신(新) 춘향전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4-04-02
    • 조회 582
    글자크기

    고전소설과 디지털 기술의 만남, 신(新) 춘향전

    -국립중앙도서관 가상국립도서관 체험관, 스페이스 랩(Space Lab) 개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3월 29일(금) 디지털도서관 지하 3층에 가상국립도서관 구축을 위한 시범콘텐츠 체험관(가칭‘스페이스 랩 Space Lab’)을 개관했다.

    이번에 개관한 스페이스 랩(Space Lab)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도서관 콘텐츠를 이용자들에게 미리 선보이는 실험 공간이다. 첫 번째로 공개되는 「딱지본* 이야기」는 ‘춘향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디지털콘텐츠로, 모션 인터랙티브** 기술을 통해 이용자의 두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는 체험을 제공한다. 「딱지본 이야기」는 문화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되었다.
    * 딱지본: 1910년대 초반, 값이 싸고 부피가 작아 서민들도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된 소설책으로 표지가 딱지처럼 울긋불긋하고 화려한 색깔과 모양으로 채색되어 딱지본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림
    ** 모션 인터랙티브(Motion Interactive):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제스처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반응하는 기술 또는 경험
    *** 문화기술 연구개발사업: 과제명「청소년 대상 현실 및 가상 창작·협동·참여형 가변복합공간 실크로드 콘텐츠 플랫폼」으로 도서관 내 문화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디지털 트윈을 지원하는 창의형 스토리 기반 메타환경 실크로드 플랫폼 개발·적용을 목적으로 연구 진행 중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이용자들이 직접 디지털 융합 콘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저작도구와 온라인 참여가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또한 2025년 이후에는 △디지털 트윈* 가상 서고 구현, △이용자 참여를 위한 디지털 에셋** 제작 등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 온·오프라인을 잇는 가상국립도서관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가상 공간에 실물과 똑같이 만든 물체, 또는 그러한 것을 만드는 기술
    ** 디지털 에셋(digital asset):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콘텐츠나 파일의 자원화

    국립중앙도서관 김수정 디지털정보기획과장은 “이번 체험관 개관은 단순히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이용자들이 국립중앙도서관의 새롭고 다양한 실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또한 연구자와 기업들에게 체험관을 개방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임: 스페이스 랩 사진

    담당자구분
    담당 부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정보기획과
    책임자 과장 김수정 (02-590-0560)

    담당자

    사무관 강민기 (02-590-6314)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