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소개
카드뉴스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76주년을 맞아 1945년 개관부터 현재까지의 국립중앙도서관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공개합니다.
개관 이후 1,300만권의 장서량 증가
1945년 10월 15일 28만 4천여 권으로 문을 연 국립중앙도서관은 2021년 6월 기준 장서량 1,300만 권을 돌파했습니다.
온라인자료는 1995년도에 소장자료 원문DB 구축을 시작해 2021년 6월 기준 1,678만 점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방문자 수 꾸준히 증가
2011년부터 2021년 6월까지의 국립중앙도서관 방문자 수는 약 783만명으로 매년 평균 80만 명 가량의 이용자가 도서관을 방문했습니다.
최근 10년간 누리집 방문 수는 약 5천38만명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10년간의 인기 대출 도서는?
최근 10년간(2011. 7.~2021. 6.) 국립중앙도서관 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가 대출 순위 전체 1위로 꼽혔습니다.
문학 부문은 히가시노 게이고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비문학 부문은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에 이어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가 독자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습니다.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고문헌은?
한국·중국·일본 고서·고문서·족보 등 귀한 고문헌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고문헌으로는 『高麗時代金石文拓本(고려시대금석문탁본)』이 꼽혔습니다. 족보는 『昌寧曺氏族譜: 36派53個小派合譜(창녕조씨족보: 36파53개소파합본)』 열람이 많았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발간자료에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1기(1945년~1987년)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법’ 제정. 국가도서관으로서의 법적 위상을 세움
▶2기(1988년~2005년) 국립중앙도서관 인프라 확충
▶3기(2006년~2015년) 국가대표도서관의 핵심 가치 구현 노력
▶4기(2016년~2020년) 문화기관으로서의 도서관 기능 확장
신문기사의 국립중앙도서관 관련 키워드는?
▶1기(1945년~1987년) 도서관의 고전적 업무와 관련된 키워드
▶2기(1988년~2005년) 정보화시대의 도서관 인프라 확충
▶3기(2006년~2015년) 도서관 콘텐츠와 인문학 행사 관련 키워드
▶4기(2016년~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국립중앙도서관 운영 상황
1945년 개관 이래 국민의 삶과 함께한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로 돌아보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기록은 도서관정보나루(www.data4library.kr)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를 저자별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전거데이터 기반 검색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는 저자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용어목록 내 용어 선택 후, 해당 용어에 대한 관계용어를 선택하시면 주제어 통합 검색 목록에 적용되어 주제어 통합 검색을 하실 수 있습니다. (관계용어 다중선택 가능)
분류기호 | 분류기호명 |
---|
별치기호 | 별치기호명 |
---|
한국대학 부호 | 한국대학명 |
---|
정부기관 부호 | 정부기관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