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자동 완성 열기

검색어 자동완성 목록

    고급검색

    다른 검색도 이용해 보시겠습니까?
    • 국가자료종합목록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이자 도서관 간 정보 공유 및 상호 협력 네트워크입니다.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전국의 고전적 소장처를 연계하여 한국 고전적에 대한 목록, 해제, 원문 등을 제공합니다.
    • 온나루 통합검색 국립중앙도서관 및 외부 연계 시스템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QUICK MENU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시범서비스 개시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0-12-17
    • 조회 1221
    글자크기

    국립중앙도서관,「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시범서비스 개시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과 우선 추진, 향후 참여기관 확대 예정 -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서혜란)은 12월 17일(목)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East Asia Digital Library, EADL)」누리집(https://eadl.asia)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은 동아시아의 지식문화유산을 큐레이션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아카이브로서, 국립중앙도서관이 운영을 맡고 동아시아 관련 자원을 보유한 기관들이 참여하는 국제협력형 디지털도서관이다. 첫 참여기관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으로, 양 기관은 지난 3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을 통해 각 기관의 디지털화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


    이번에 시범서비스로 공개되는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에서는 우선 국립중앙도서관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소장한 고문헌 총 8,110종의 원문과 서지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한국의 고려 및 조선 시대 자료와 일본의 무로마치 및 에도시대 자료들이 포함된다. 특히, 구조화된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는 연결형 데이터(Linked Data)로도 제공하여 활용성을 높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서혜란 관장은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은 한국과 일본의 자료로 서비스를 시작하지만, 향후 중국이나 몽골 등 동북아 관련 자료들을 통합 제공할 수 있도록 확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미국이나 유럽 등 동아시아 관련 자원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들도 참여기관으로 확대하여, 동아시아학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디지털도서관 서비스가 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 누리집(http://www.nl.go.kr)>디지털컬렉션>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에서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중국어·일본어·영어로 안내를 제공한다.



    붙임.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 누리집 화면


    noname01.jpg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김혜련 사무관(☎ 02-590-631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