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영역
자동완성 닫힘

    검색

    남한가람지콜레주드프랑스(Collège de France) 한국학도서관
    남한가람지
    • 南漢伽藍志 / [編者未詳]
    • 筆寫本
    •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 1冊(39張) : 四周雙邊 半郭 21.5 x 15.6 cm, 有界, 10行字不定, 內向2葉花紋魚尾 ;29.7 x 21.1 cm
    • 書末 : 同治十三(1874)年甲戌六月日故本失傳故改備
    남한산성내 사찰의 창건과 중수에 관한 내력을 수록하여 1874년에 간행한 것을 필사한 책이다. 권두에는 조선 중기의 유학자 서명응(徐命膺)이 쓴 『남한지(南漢志)』가, 책 끝에는 여러 명인들의 제영(題詠)·현판 등을 모았고, 남한산성의 연혁·산천·성지·직관·공해(公廨)·누정(樓亭)·단묘(壇廟)·병기·군비·창고·관방·사찰·영제(營制) 등으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뎡니의궤프랑스 국립도서관(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
    뎡니의궤
    • 整理儀軌 = 뎡니의궤 권지삼십구 화셩셩역도본. 卷39 城役圖 / 正祖(朝鮮) 命編
    • 筆寫本
    •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正祖 19-20(1795-1796)]
    • 1冊(55張) : 四周雙邊 半郭 25.6 x 17.9 cm, 無界, 9行字數不定, 無魚尾 ; 36.5 x 23.2 cm
    금속활자본 <화성성역의궤>를 한글로 필사한 것으로 프랑스 동양언어문화학교 자료와 한질을 이루고 있다. 정리의궤는 조선 정조대의 주요 사업인 ‘현륭원(顯隆園) 행행(行行)’과 화성 성역과 관련한 도설을 채색화 한 것으로 유일본이다.
    여흥민씨 민관식(閔觀植) 가문 고문서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도서관(Toronto University Library)
    여흥민씨 민관식(閔觀植) 가문 고문서
    • 여흥민씨 고문서
    캐나다 토론토대학 도서관 소장 여흥민씨 고문서는 모두 333건으로 293건이 간찰(편지)에 해당한다. 간찰의 수신자는 모두 민관식(閔觀植, 1825-1886)으로 고산현감과 공주판관으로 재직하고 있던 시기인 1884~1885년 두 해에 걸쳐 집중되어 있다. 조선말기 조선 정치의 중심에 있던 여흥민씨 가문의 고문서는 개인적 기록을 넘어서 우리나라 근대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내훈미국 하와이대학교 도서관(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Libra
    내훈
    • 內訓Naehun / 昭惠王后 撰
    • 木板本(甲寅字飜刻)
    • [發行地不明] : [發行者不明], 孝宗 9(1658)
    • 卷3冊 : 四周雙邊 半郭 21.7 × 14.6 cm, 有界, 10行17字 註雙行, 內向3葉花紋魚尾 ; 33.8 × 20.9 cm
    • 內賜記: 順治十五年(1658)正月十六日內賜長番內官崔大立內訓一件命除謝恩 承傳色臣 李手決
    성종 6년(1475) 왕의 어머니인 소혜왕후가 아녀자들의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책이다. 하와이대학교 소장본은 효종 7년(1656)에 금속활자인 을해자본을 번각(飜刻)하여 발간한 목판본으로 내사본이다.
    고사신서미국 하버드대학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
    고사신서
    • 攷事新書 = Kosa sinso / 徐命膺 編
    • 筆寫本
    •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英祖 47 (1771)
    • 15卷7冊 ; 37.9 × 25.0 cm
    • 序: 上之四十七年(1771)...徐命膺
    조선후기 문신·학자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이 사대부와 관리 및 일반 선비들이 항상 기억해 두어야 할 사항을 기록하여 1771년에 편찬한 유서(類書)[사전]이다. 어숙권(魚叔權)의 ≪攷事撮要≫를 대폭 개정, 증보한 것이다. 후기교서관인서체자본(後期校書館印書體字本)과 전사자본(全史字本)의 활자본 및 사본 등이 전해지고 있으며, 저자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환록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도서관(Princeton University Library)
    동환록
    • 東寰錄 = Tonghwannok / 尹廷琦(朝鮮) 撰
    • 石版本
    •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哲宗 10(1859)]
    • 4卷1冊 : 揷圖, 四周雙邊 半郭 19.0 x 14.1 cm, 有界, 10行22字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 24.1 x 17.5 cm
    • 自序 : 咸豊九年己未(1859)之冬十月舫山居士尹廷琦敍
    • 양장제본, 2책 合 / 印文 : 葛思德東方書庫之印
    조선 후기의 학자 윤정기(尹廷琦,1814-1879)가 한국의 지리·역사 등의 사항을 사전(事典)식으로 엮은 자료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미국 클레어몬트대학 도서관(Claremont Colleges Library)
    신증동국여지승람
    • 新增東國輿地勝覽 / 盧思愼(1427~1498) 等受命編
    • 木板本
    •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17th(初版1530)
    • 55卷21冊 : 四周雙邊 半郭 25.0 x 16.7 cm, 有界, 8行16字 註雙行, 內向混葉花紋魚尾 ; 34.0 x 21.0 cm
    • 表題: 輿地勝覽
    • 안정복(1712~1791)수택본
    序: 成化十七年(1481)...徐居正
    新增序: 嘉靖九年庚寅(1530)...李荇
    跋: 弘治十二年(1499)...任士洪
    跋: 金宗直
    跋: 嘉靖十年(1531)...洪彦弼
    印文: 安鼎福印

    본서는 안정복 수택본으로 동사강목 편찬에 앞서 고증을 거친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는 귀중한 고서로 일제 강점기 무렵 외국으로 유출된 문화재임
    뇌연집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도서관(Columbia University Library)
    뇌연집
    • 雷淵集. 卷1-30 / 南有容(朝鮮) 著
    • 金屬活字本(再鑄韓構字)
    •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正祖 7(1783) 印
    • 30卷 15冊 : 四周單邊 半郭 21.0 x 14.1 cm, 有界, 10行 20字 註雙行, (上/下) 2葉花紋魚尾 ; 31.0 x 19.5 cm
    • 表題: 小華藁
    • 御製敍: 予踐阼之七年壬寅(1782)肇夏有二日 沈念祖奉敎謹書 / 致祭文: 維乾隆四十八年歲次癸卯(1783)五月二十九日
    조선 후기에 남유용(南有容, 1698~1773)이 쓴 시문집. 시, 사부, 제문 따위의 글을 수록하고 있다. 정조 6년(1782)에 정조의 명으로 교서관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남유용은 인물됨이 실박하면서도 바른말을 잘하고 청백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명사정강(明史正綱)』·『천의리편(闡義理編)』·『뇌연집(雷淵集)』이 있다.
    기자지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기자지
    • 箕子志 / 尹斗壽(朝鮮) 編
    • 木板本
    •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朝鮮後期]
    • 3卷1冊 : 四周單邊 半郭 24.3 ×18.8 cm, 有界, 11行20字,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 33.7 x 23.2 cm
    • 본 자료는 2006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조사한 자료임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尹斗壽:1533~1601)가 기자에 관한 기록을 모아 1580년에 편찬하였다. 1577년에 명(明)에 사은사로 갔을 때 사인(士人)들로부터 기자에 대해 많은 질문을 받았으나, 제대로 답변을 하지 못한 것이 계기가 되어 편찬하였다고 한다. 명과 조선의 경서·사서·시·비문 등에서 기자에 관한 사실(史實)과 논평들을 수록하였다.
    규장각지미국 예일대학교 도서관(Yale University Library)
    규장각지
    • 奎章閣志Kyujanggak chi / 奎章閣(朝鮮) 奉命編
    • 金屬活字本(丁酉字)
    • 漢陽[서울] : 內閣, 正祖 8(1784)
    • 2卷1冊 : 四周單邊 半郭 25.0 x 17.0 cm, 有界, 10行18字 註雙行,上2葉花紋魚尾 ; 36.4 x 23.6 cm
    • 標題: 甲辰(1784)新編 內閣活印
    • 御製序 : 予踐阼之八年甲辰(1784)仲夏下澣[正祖]
    1776(영조 52)년 신설된 규장각의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명을 받아 서명응(徐命膺)·채제공(蔡濟恭)·황경원(黃景源)·이복원(李福源) 등이 초본(草本)을 만들었고, 1784년(정조 8)에 정유자(丁酉字)로 간행하였다. 책 앞에 어제서문(御製序文)이 있고, 끝에 이복원·이징지(李徵之)·황경원·서명응·김종수(金鍾秀) 등 5인의 발문이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