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후기

‘과학으로 보는 우리역사’ 탐방후기

등록일 : 2014-11-16

조회 : 7078

작성자 : 박종세

<font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font size="2"><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저서 『과학 삼국유사』에는 <span lang="EN-US">‘</span>과학<span lang="EN-US">’</span>이 있었다<span lang="EN-US">. </span></span></b></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2014</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년 <span lang="EN-US">11</span>월<span lang="EN-US"> 14~15 </span>양일간 <span lang="EN-US">‘</span>과학으로 보는 우리역사<span lang="EN-US">’ </span>탐방을 위해 경주 일원을 다녀 왔다<span lang="EN-US">. </span>필자는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 역사에 왜 과학자가 그리고 과학이 그리도 없었는가 하는 것이 큰 의문이었다<span lang="EN-US">. </span>어렸을 적에 접한 역사 교과서에는 우리의 과학 이야기가 너무도 빈약했다<span lang="EN-US">. </span>게다가 교과서에 나오는 과학 이야기는 그 설명이 너무도 평범했다<span lang="EN-US">. </span>이런 내용의 과학 이야기는 어린 나이임에도 마음속에 대단한 긍지가 생기거나 자부심을 충족 시키지 못했다<span lang="EN-US">. </span>또 우리의 과학은 이론의 발견은 없고 모두가 유물뿐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그런데 이상하게도 그<span lang="EN-US"> 10</span>대 때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인데 내 머리 속에 선명하게 각인 된 얘기가 딱 하나 있다<span lang="EN-US">. </span>어느 시대인지 누구였는지 이름도 기억은 없지만 왠지 그 이야기는 지금도 생생하다<span lang="EN-US">. </span>우리 과학자가 <span lang="EN-US">‘</span>타서 없어지는 촛불<span lang="EN-US">’</span>을 들여다 보다가 발견한 <span lang="EN-US">‘</span>물질불멸의 법칙<span lang="EN-US">’</span>이 우리나라가 서양보다 훨씬 앞선다는 내용이었다<span lang="EN-US">. </span>그런데 그 이야기는 그뿐 다시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span lang="EN-US">. </span>마침 이 글을 쓰면서 한국사<span lang="EN-US">D/B</span>인<span lang="EN-US"> &lt;</span>한국사콘텐츠<span lang="EN-US">(</span></span><span lang="EN-US"><a href="http://contents.koreanhistory.or.kr/main.do" target="_blank"><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0000ff">http://contents.koreanhistory.or.kr/main.do</font></span></a></span><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gt;</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를 뒤져 봐도 없다<span lang="EN-US">. </span>결국 내가 어려서 배운 교과서의 내용이 틀린 이야기인지 그 진위를 알 길이 없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그 다음에 접한 것이 학창시절을 한참 지난 후<span lang="EN-US">KBS</span>의 역사스페셜 등 방송 기획프로그램을 통해 본 우리의 가슴 뿌듯한 과학 이야기였다<span lang="EN-US">. </span>가야의 제철기술<span lang="EN-US">, </span>신라의 금세공<span lang="EN-US">, </span>방짜유기와 봉덕사 종<span lang="EN-US">(</span>에밀레 종<span lang="EN-US">) </span>주조기술<span lang="EN-US">, </span>천 년을 견딘 불국사의 석축과 두 탑<span lang="EN-US">, </span>우리가 손 대기 전까지 천 년 세월을 뽀송뽀송하게 유지해 온 석굴암의 제습기술<span lang="EN-US">, </span>종이와 도자기 기술 등등 수 없이 많았다<span lang="EN-US">. </span>그런데 이들 내용이 자라는 학생들이 배우도록 역사교과서나 과학책에 왜 올라 있지 않은가 하는 의문은 계속 남았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그 후로 접한 것이 <span lang="EN-US">‘</span>학문간의 통섭<span lang="EN-US">’, ‘</span>학문간의 융합<span lang="EN-US">’</span>이라는 최근의 화두였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이 화두도 그 의미는 알겠는데 내 머리 속에 <span lang="EN-US">‘</span>번쩍<span lang="EN-US">’</span>하는 명쾌한 개념을 정립해 주지는 못했다<span lang="EN-US">. </span>그런데 이종호 교수의 『과학 삼국유사』를 읽고서야 내 머리 속의 안개가 걷혔다<span lang="EN-US">. </span>책에서도 언급이 되었듯이 <span lang="EN-US">“</span>왜 우리 유산에 과학이 없다고 느껴지는가<span lang="EN-US">?”</span>라는 길고 긴 내 의문이 풀린 것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이 교수의 책 <span lang="EN-US">‘</span>머리말<span lang="EN-US">’</span>은 이렇게 시작 된다<span lang="EN-US">. 1959</span>년 영국의<span lang="EN-US"> C. P. </span>스노우는 유명한 케임브리지대학교 리드 강연에서 <span lang="EN-US">‘</span>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단절<span lang="EN-US">’</span>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각하게 경고한바 있다<span lang="EN-US">. “</span>두 문화<span lang="EN-US">(two cultures), </span>즉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간극이 세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주된 방해물이 된다<span lang="EN-US">”</span>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스노우가 강조한 것은 두 문화의 극점에 물리학자와 문학자가 있는데<span lang="EN-US">, </span>이들이 대화를 한다고 해도 <span lang="EN-US">‘</span>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서로에 대해 무지하다<span lang="EN-US">’</span>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Eureka! </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이제야 알겠다<span lang="EN-US">. </span>과학을 모르는 역사학자가 역사책에서 과학을 다루고 인문학을 모르는 과학자가 가슴에 와 닫는 글을 쓸 수가 있겠느냐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더구나 과학을 모르는 역사교사가 역사 속의 과학을 학생들에게 제대로 가르칠 수는 없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여기서 나는 그 동안 실감이 나지 않던 <span lang="EN-US">‘</span>학문간의 통섭<span lang="EN-US">’, ‘</span>학문간의 융합<span lang="EN-US">’</span>에 대한 개념이 내 머리 속에 선명하게 자리하게 되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이만영 전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은 이 책을<span lang="EN-US"> “</span>이종호 교수의 『과학 삼국사기』와 『과학 삼국유사』는 저자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여러 번 통독하면서 찾아 낸 과학관련 사실들을 동서양 근·현대의 사례들을 통해 비교 설명하면서 독자들에게 아주 쉽게 다가가고 있다<span lang="EN-US">”</span>고 평했다<span lang="EN-US">. </span>박택규 건국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span lang="EN-US">“</span>이 책은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span lang="EN-US">‘</span>두 문화<span lang="EN-US">’ </span>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정한 융합을 이루었다<span lang="EN-US">”</span>고 했고<span lang="EN-US">, </span>신형식 서울시사편찬위원회위원장은 <span lang="EN-US">“</span>이 책의 미덕은 과학자가 역사서를 분석하면서 역사학자들이 놓치기 쉬웠던 과학적인 내용을 읽어 낸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평가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한국과학기술원<span lang="EN-US">(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an>해외유치과학자로 귀국한 그는 프랑스 페르피냥대<span lang="EN-US">(</span></span><span lang="FR"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ansi-language: FR; mso-bidi-font-style: italic'>Université de Perpign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에서 공학박사학위를 받은 데 더하여 프랑스의 과학국가박사학위도 받았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과학을 전공했으면서도 동서양의 고전들을 섭렵하고 많은 세계유산들을 직접 답사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과학자이면서도 인문학 소양을 겸한 저자는 문명·과학·역사를 넘나들며 많은 저술활동을 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그의 학문은 통섭과 융합의 전형인 셈이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이 책은 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span lang="EN-US">‘</span>우수과학도서<span lang="EN-US">’</span>로 지정되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저자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과학 관련 사실들을 추려 내어 동서양의 전거와 과거와 현재의 사례들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해박한 과학이론으로 우리 과학을 설명한다<span lang="EN-US">. </span>이 책은 삼국시대 역사서에서 여러 분야에 걸친 우리의 과학을 찾아 심층 분석한 것이기에 당연히 <span lang="EN-US">'</span>한국과학사<span lang="EN-US">'</span>이기도 하다<span lang="EN-US">.<span style="color: #555555"> </span></span><span style="color: #555555">책은 </span>선덕여왕의 총기<span lang="EN-US">, </span>막걸리<span lang="EN-US">, </span>포석정<span lang="EN-US">, </span>로봇이야기<span lang="EN-US">, </span>온돌<span lang="EN-US">, </span>용<span lang="EN-US">, </span>소리개 통신원<span lang="EN-US">, </span>앵무새의 사랑<span lang="EN-US">, </span>차<span lang="EN-US">, </span>사리이야기<span lang="EN-US">, </span>첨성대<span lang="EN-US">, </span>불국사<span lang="EN-US">, </span>석굴암 제대로 보기<span lang="EN-US">, </span>에밀레종<span lang="EN-US">, </span>석빙고<span lang="EN-US">, </span>가마솥<span lang="EN-US">, </span>김치<span lang="EN-US">, </span>국물 문화의 주인공 장<span lang="EN-US">, </span>사발의 기원과 방짜의 진수 징<span lang="EN-US">, </span>바둑 등 모두<span lang="EN-US"> 20</span>가지를 키 워드로 우리 삼국시대의 과학을 재미 있게 설명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이상의 저서 내용 중 이틀 동안의 경주 일원 탐방과 직접 관련이 있는 과학 이야기는 </span><span style='color: #555555; 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포석정<span lang="EN-US">, </span>부처님 사리<span lang="EN-US">, </span>첨성대<span lang="EN-US">, </span>불국사<span lang="EN-US">, </span>석굴암<span lang="EN-US">, </span>에밀레종<span lang="EN-US">, </span>석빙고 그리고 월지<span lang="EN-US">(</span>안압지<span lang="EN-US">)</span>였다<span lang="EN-US">. </span>그 중에서도 포석정 불국사 석굴암 에밀레종 석빙고는 압권이었다<span lang="EN-US">. </span>책 읽기를 통한 과학적 측면의 새로운 지식을 얻기는<span lang="EN-US"> KBS-TV</span>의 <span lang="EN-US">‘</span>역사 스페셜<span lang="EN-US">’ </span>이후 처음이었다<span lang="EN-US">. </span>이종호 교수의 저서에는 채 제목 그대로 유리가 유념해야 할 과학이 있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사전강연과 탐방 현장해설에서는 과학이 없었다 </span></b></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사전 강연에서 이종호 박사는 우리 역사유산을 과학적 측면에서 제대로 보자면서 우리에겐 자랑스러운 유산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조들이 과학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고 자학적 판단을 하고 있는데 대해 그것은 과학자가 아닌 비 전문가들이 우리 역사를 보는 비과학적 시각일 뿐 우리 역사 유산에도 우수한 과학이 있다고 설명해 주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그러나 현장 설명에서는 과학이 없었다<span lang="EN-US">. </span>필자는 그 이유를 참가자들이 권장도서인 『과학 삼국유사』를 모두 읽고 이해하고 있을 것으로 알고 과학적 측면의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 것으로 이해한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 필자는 사전강연과 현장설명이 생략된 우리의 유산에 대한 구체적인 과학적 설명은 책을 읽은 지식으로 돌리려 한다<span lang="EN-US">. </span>단 필자는 우리가 방문했던 현장 중에서 <span lang="EN-US">‘</span>황룡사지<span lang="EN-US">’</span>와 <span lang="EN-US">‘</span>석굴암<span lang="EN-US">’ </span>두 군데 방문소감만을 소개하고자 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여기서 한가지 덧붙일 이야기가 있다<span lang="EN-US">. </span>불국사를 방문했을 때 운이 좋았다<span lang="EN-US">. </span>마침 석가탑을 해체 수리하느라 탑신에 보존 중이던 부처님 진신사리<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font-family: &quot;바탕&quot;,&quot;serif&quot;; mso-bidi-font-family: 바탕'>眞身舍利<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를 일반에 공개 전시를 하고 있어 이를 친견할 수 있었다<span lang="EN-US">. </span>평생 두 번 다시 없을 기회였다<span lang="EN-US">. </span>사리는<span lang="EN-US"> 46</span>과였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span></b><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황룡사<span lang="EN-US">] </span></span></b></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필자는<span lang="EN-US"> 2011</span>년<span lang="EN-US"> 8</span>월<span lang="EN-US"> 26</span>일에도 황룡사지를 방문했었다<span lang="EN-US">. </span>찾을 적마다 내 눈앞의 폐허는 가슴을 아프게 했다<span lang="EN-US">. </span>그 해 황룡사지를 다녀간 뒤 나는 아래 내용의 탐방기를 쓴 적이 있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작년 <span lang="EN-US">4</span>월<span lang="EN-US"> 26</span>일 탐방 때도 황룡사지를 찾았다<span lang="EN-US">. 2011</span>년 때 느낀 감회 그대로였다<span lang="EN-US">. </span>아니<span lang="EN-US"> 4</span>대왕<span lang="EN-US"> 93</span>년에 걸친 대역사의 탄생물인 호국의 대가람 황룡사를 지켜내지 못한 나약한 우리역사를 생각하면서 오히려 더 안타까웠다<span lang="EN-US">. 2011</span>년의 방문소감을 아래에 옮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i style="mso-bidi-font-style: normal"><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span></i><i style="mso-bidi-font-style: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전략<span lang="EN-US">) </span>황룡사와 인각사 두 군데에서 나는 깊은 마음의 상처를 얻었다<span lang="EN-US">. </span>황룡사 폐허의 그 황량함<span lang="EN-US">, </span>쓸쓸함<span lang="EN-US">, </span>허전함<span lang="EN-US">. </span>애잔함<span lang="EN-US">, </span>아쉬움<span lang="EN-US">~ </span>인각사 보각국사 비가 보여주는 야차 같은 잔인함<span lang="EN-US">, </span>허망함<span lang="EN-US">~. </span>나는 황룡사 터와 인각사 두 곳에서 깊은 자책감<span lang="EN-US">, </span>탄식<span lang="EN-US">, </span>회한을 느꼈다<span lang="EN-US">. </span>문화는 그것을 창조하고 보유하고 기리는 사람들의 정신이고 정체성이다<span lang="EN-US">. </span>문화는 포괄적이고 총체적 개념이다<span lang="EN-US">. </span>시 한 수<span lang="EN-US">, </span>그림 한 폭<span lang="EN-US">, </span>조각 한 점이 문화가 아니다<span lang="EN-US">. </span>그것들이 켜켜이 쌓이고 쌓여 숙성된 것이 문화다<span lang="EN-US">. </span>벽돌처럼 쌓이되 온전히 보존되어야 하고 온전히 보존되되 방치되지 않고 기리고 전수되어야 한다<span lang="EN-US">. </span>파괴되고 소실되면 상처<span lang="EN-US">(</span>흠집<span lang="EN-US">)</span>로 남을 뿐 산 문화로 역할 하지 못한다<span lang="EN-US">. </span></span></i></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i style="mso-bidi-font-style: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나는 황룡사 터와 인각사의 ‘보각국사 비’ 잔해에서 우리문화의 깊은 상처를 보았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그 상처는 깊이를 알 수 없는 참혹하고 슬픈 응어리로 내 마음속에 옮겨 들었다<span lang="EN-US">. </span>마른 눈물에 ‘헉<span lang="EN-US">~!</span>’ 하고 억장이 무너졌다<span lang="EN-US">. </span>엉뚱한 종족이 쳐들어 와 그 웅장한 황룡사를 그리도 알뜰하게 태워 버리게 놔둔 것도 못난 우리이고 그렇게 정성 들여 만든 보각국사 비를 그처럼 깡그리 산산조각 박살낸 것도 우리 자신이다<span lang="EN-US">.<span style="mso-font-kerning: 0pt"> (</span></span><span style="mso-font-kerning: 0pt">후략<span lang="EN-US">) </span></span></span></i></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lang="EN-US"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span></b><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석굴암<span lang="EN-US">] </span></span></b></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석굴암은<span lang="EN-US"> 1962</span>년<span lang="EN-US"> 12</span>월 국보 제<span lang="EN-US">24</span>호로 지정되었고<span lang="EN-US"> 1995</span>년<span lang="EN-US"> 12</span>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석굴사찰이다<span lang="EN-US">. </span>석굴암의 불행은 <span lang="EN-US">1907</span>년 한 일본인 우편배달부에 의해 발견 되면서 시작 되었다<span lang="EN-US">. </span>그 일본인 우편 배달부는 우연히 입구가 허물어진 석굴암을 발견했고 이 사실을 일본 통감부에 알린 것이다<span lang="EN-US">. 1909</span>년<span lang="EN-US">4</span>월 부통감 소네 아라스케가 다녀 가고 세키노 다다시라는 일본 학자가 다녀 가면서 <span lang="EN-US">“</span>일본은 물론 중국에도 비견할만한 것이 없는 엄청난 문화재<span lang="EN-US">”</span>라고 평가했다<span lang="EN-US">. </span>일본인들이 다녀간 이 무렵에 본존불 뒤쪽<span lang="EN-US"> 11</span>면 관음상 앞에 있던<span lang="EN-US"> 5</span>층 소탑이 감실에 있던 작은 석상<span lang="EN-US"> 2</span>점과 함께 일본으로 밀반출 되었다<span lang="EN-US">. </span>당시의 여러 진술과 정황으로 보아 부통감 아라스케가 가져간 것으로 추정 된다고 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그 후<span lang="EN-US"> 1910</span>년 한일합방이 되자 조선총독부가 석굴암을 통째로 일본으로 가져가려 획책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당시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 반대하자 포기했다<span lang="EN-US">. </span>이 후 일본은 세 차례 석굴암에 손을 댔다<span lang="EN-US">. 1913~15</span>년<span lang="EN-US"> 3</span>년간 완전 해체 후 조립했는데 누수현상이 생기자<span lang="EN-US"> 1917</span>년 돔<span lang="EN-US">(</span>지붕<span lang="EN-US">) </span>수리 등 몇 군데 부분 수리를 했다<span lang="EN-US">. 2</span>차 수리에 효과가 없자<span lang="EN-US"> 3</span>차로 <span lang="EN-US">1920~23</span>년 내·외부를 수리했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못 했다<span lang="EN-US">. 1000</span>여 년을 습기에 문제가 없던 신라의 과학이 망가진 것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정부 수립 후에는 석굴암 보존문제가 계속 거론되다가<span lang="EN-US"> 1963</span>년<span lang="EN-US"> 7</span>월부터<span lang="EN-US"> 1965</span>년<span lang="EN-US"> 6</span>월까지 대대적 보수를 하게 되는데 일본인들이 돔을 콘크리트로 덮어 버린 것을 원래의 석물을 손상하지 않게 떼어 낼 방법이 없자 누수를 막는 고육지책으로 돔 위에 다시 돔으로 덮어 버린 것이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는<span lang="EN-US"> 1966</span>년부터는 대형 제습기를 가동시키다가 아예 유리 막으로 사람들의 출입을 막아버린 것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이상은 되돌릴 수 없는 슬픈 역사다<span lang="EN-US">. </span>이제 와서 어찌할 도리가 없지만 필자는 다른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span lang="EN-US">. </span>우리 국보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을 감상하려 매일 구름처럼 인파가 모여든다<span lang="EN-US">. </span>우리 국민에게도 못할 일이지만 특히 외국인들에게 지금의 석굴암은 차마 낯이 뜨거워 보여주기 민망하다는 생각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첫째 석굴암 수광전 주변에 스테인리스 프레임<span lang="EN-US">(stainless frame)</span>을 덧붙여 놓고 프라스틱 유리를 끼워 놓은 공사는 서민가정 베란다 유리창도 그렇게 만들지는 않을 정도로 품위 없고 조잡하다<span lang="EN-US">. <span style='line-height: 60%; 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font-size: 10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font-kerning: 0pt; mso-ansi-language: EN-US; mso-bidi-font-family: &quot;Times New Roman&quo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theme-font: minor-bidi;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무엇보다 우리 고건축과 스테인리스 프레임에 플라스틱 유리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둘째<span lang="EN-US">, </span>수광전 앞 바닥 면은 콩크리트로 깔아 놓고 출입을 막느라 금줄을 쳐 놓고 있다<span lang="EN-US">. </span>그 모습이 어느 도시 판자촌 장면을 연상케 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셋째<span lang="EN-US">, </span>무슨 공사를 하려고 그러는지 수광전 아랫단에는 컨테이너<span lang="EN-US">(</span>현장사무소<span lang="EN-US">?)</span>까지 가져다 놓은 모양이 그리도 꼴불견일 수가 없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넷째<span lang="EN-US">, </span>외국인 관광객이 세계문화 유산이라고 찾아 왔는데 북적대는 내국인 관광객 틈에 끼어 유리 차단 막이 얼비쳐 잘 보이지 않는 석굴암 안쪽을 몇 번 기웃대다가 계속 밀고 들어 오는 인파에 밀려 나갈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span lang="EN-US">. </span>비싼 관람료 내고 몇 초나 몇 분만에 허망하게 관람이 끝나게 된다<span lang="EN-US">. </span>외국인 관광객들로부터 <span lang="EN-US">“</span>한국의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관람은 사기다<span lang="EN-US">”</span>라며 항의와 불만토로가 아직까지 없는 것이 이상하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해결책은 세 가지다<span lang="EN-US">. </span>첫째<span lang="EN-US">, </span>이집트가 나일강 댐 건설로 수몰될 위치에 있던 아부심벨 신전의 경우처럼 결로문제 등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유네스코와 협의하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국내 기술진으로 부족하다면 유네스코의 협조를 얻어 세계적인 전문가를 동원하여 연구하고 문제를 완전무결하게 해결하는 것이 최상의 대책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둘째<span lang="EN-US">, </span>첫째 조치가 시작되기 전 까지는 석굴암과 그 주변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다운 수준으로 주변을 조성할 때까지 관람을 잠정 중단하는 것이 차선의 대책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mso-asci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size: 10.0pt; mso-font-kerning: 0pt'>셋째<span lang="EN-US">, </span>첫째 조치든 둘째 조치든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는 관람객을 무조건 밀어 넣지 말고<span lang="EN-US"> 10</span>명 이내의 인원으로 그룹을 만들어 그룹마다 해설자가 인솔하면서 해설<span lang="EN-US">(</span>외국인은 외국어로 해설하던가 해설 녹음기를 대여함<span lang="EN-US">)</span>하되 그룹간의 시간간격은 해설 소요시간에 그룹 전원이 석굴암 내부를 충분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을 합한 시간으로 하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font face="굴림" size="3"></font><span style='line-height: 60%; font-family: &quot;맑은 고딕&quot;; font-size: 10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font-kerning: 0pt; mso-ansi-language: EN-US; mso-bidi-font-family: &quot;Times New Roman&quo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theme-font: minor-bidi;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어떤 조치가 있던 간에 지금과 같은 모습<span lang="EN-US">, </span>지금과 같은 방식으로의 관람은 나라망신이다<span lang="EN-US">. </span>문화재관리 당국의 현명하고 신속한 조치를 촉구한다<span lang="EN-US">. </span>끝<span lang="EN-US">.&nbsp;</span></span>&nbsp;</p></font>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br /></p></span>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br /></p></font>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br /></p></span> <p style="margin: 0cm 0cm 6pt; line-height: normal"><br /></p><font size="3"></font>
목록
이전글 경주는 그 자체가 보물이다 이전글 하멜, 서양과의 날카로운 키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