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후기

마지막 탐방길에 비마져 내려…

등록일 : 2014-12-14

조회 : 5782

작성자 : 이광세

<div>금년 마지막 탐방길에 비 소식이 있다니 걱정이다. 요즘 일기예보는 놀랍게 잘 맞춘다.</div> <div>어쩌다 예보가 빗나가 일을 망칠땐 기상청에 대고 입총을 쏘아댔는데, 이럴때는 제발</div> <div>빗나가 주길 바라는 간사한 心통이다. 혹시나는 역시나였다. 어둠속 비를 맞으며 길을 나섰다.</div> <div>비온다고 빠진사람없이 버스는 가득찼다. 을씨년스런 버스창문에 내려치는 빗방울이</div> <div>부족한 잠으로 몰아간다.&nbsp; 홍인희 교수의 이번 탐방에 원주.횡성 지역의&nbsp;역사 뒤안에</div> <div>숨은&nbsp;속살과 &nbsp;승자는 누구며 패자는 누군지 기대된다.</div> <div>예부터 횡성은&nbsp;「사람은 서울로 소는 횡성으로」라는 말이 전해 오고있다.</div> <div>우리주변 마트나 정육점에 「횡성한우」로도 널리 알려져있다. 또한 횡성 사람들의 강인한 </div> <div>기질을 일컬어 「횡성 3횡(橫)」이란말이 회자되고 있으니</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산새가 빗겨나 있어&nbsp;&nbsp;&nbsp;&nbsp; ····………&nbsp;&nbsp;&nbsp;&nbsp;&nbsp;&nbsp;山橫 ,</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산따라 냇물도 빗겨있어&nbsp;&nbsp;·····……·&nbsp;&nbsp;&nbsp;&nbsp; 川橫</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사람들 품성 또한 호락호락치 않아 ···人橫 이라 한다.</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 &lt; 어리숙하고 순진하다는 강원도민들에 대한 횡성 깍쟁이와는 대조되는 얘기다 &gt;</div> <div>&nbsp;</div> <div>책속에서 조선의 풍수지리 대가&nbsp;격암 남사고는 부론을 가리켜 「왕기가 서린곳」이라 하였다.&nbsp;&nbsp; 한 고을에서 왕가의 왕비를 4명씩이나 배출하였으니 말이다.</div> <div>- 선조의 인목대비(정비) 는 영창대군을 낳았고</div> <div>-&nbsp;&nbsp;&nbsp; 〃&nbsp;&nbsp;&nbsp; 공빈김씨(후궁) 는 광해군</div> <div>- 인조의 인열왕후(정비) 는 효종</div> <div>- 고종의 엄귀비&nbsp;&nbsp; (후궁) 는 마지막 영친왕을 낳았다.</div> <div>&nbsp;</div> <div>&lt;인목대비 향리&gt;</div> <div>조선선조의 장인이며 인목대비의 친정아버지 의민공 김제남의 고향 안창마을에 내렸다. 탐방여행의 콘텐츠는 걸으며 배우는 스토리 텔링인데 비를 맞고 움직이니 진행이 어렵다 종가에는 (14대 김길주) 벽안(미국인)의 며느리가 손을 맞이한다.&nbsp;&nbsp; 김제남은 영창대군을 왕으로 추대한다는 무고를 받아(광해군5) 세 아들과 사약을 받았다. &nbsp;이것도&nbsp;모자라 광해군 8년에는 폐모론이 일어나면서 부관참시 까지 당했으니….</div> <div>조선태조의 「왕자의난」못지않은 「왕가의난」인 것이다.</div> <div>&nbsp;</div> <div>인목대비에게&nbsp; 영화는 한때였다. 폐모살제로 서궁(덕수궁)에 유폐되어 부귀빈천이 물레바퀴 돌듯 궁중비화를 겪으며 후회도 했으리라 생각된다. 왕가는 가욋길이었다고…</div> <div>지옥같은 서궁에서의 원한과 복수의 심정을 한글일기체로 「계축일기」를 남겼다.</div> <div>「인현왕후전」「한중록」과 함께 조선의 3대 궁중문학의 대표작이다.&nbsp;&nbsp; 역사소설과 드라마를 쓰는 작가들은 이 소설을 읽지 않고는 작품을 쓸수 없었다고 한다.</div> <div>&nbsp;</div> <div>&lt;승자의 미소&gt;</div> <div>「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는 속담이 있다. 신라말기에 승려 도선은 왕건의 아버지 왕륭에게 송악산밑에 명당자리를 잡아주며 여기에 집을지으면 삼국을 통일할 아들을 낳는다고 하였다. 도선의 말을 따른 왕륭은 왕건을낳았고&nbsp; 고려를세운 태조왕건은 집터가 좋아서 새로운 왕조를 세울수있었다.&nbsp;&nbsp; 우리는 왕건에게 패한 견훤산성터를 찾았다. 길도없는 </div> <div>비탈 골자기에 성터에서 흘러내린 돌조각이 발밑에 널려있다. 푸른 이끼를 잔뜩품고 천년 세월을 흘러내린 기록이리라.&nbsp; 빈몸 오르기도 힘들어 숨돌리기 바쁜데 그 옛날 민초들은</div> <div>등짐에 돌을지고 헐떡이며 소나기 땀에 오죽했으랴.</div> <div>&nbsp;</div> <div>&lt;흥원창&gt;</div> <div>흥원창은 섬강과 남한강을 잇는 드넒은 포구다.&nbsp; 갈대 날리는 강가모래톱, 깍아지른 벼랑이</div> <div>창공을&nbsp;향해 병풍처럼 솟아있고,&nbsp; 백로한쌍&nbsp; 산모롱이&nbsp; 날아&nbsp;내리니&nbsp; 놀란 물오리떼 물보라 </div> <div>날리며 날아오른다.&nbsp; 강가에&nbsp;늘어선 평저선은 흔적없고&nbsp; 조창으로 이어진 들판엔 적막으로</div> <div>깊이 잠들고 있다.</div> <div>&nbsp;</div> <div>&lt;법천사지&gt;</div> <div>지광국사 현묘탑비는 고려시대 세워졌는데 현묘탑은 현재 경복궁 고궁박물관 옆에있다.&nbsp;&nbsp; 탑보다 탑비조각이 더 아름다워 보인다.&nbsp;비 양쪽에 새겨진 구름과 용의 조각은 극치의 예술품이다.&nbsp;&nbsp; 우람한 거북등옆 돌층에 않아&nbsp; 법천사 옛터 발굴현장을 보니 전성기 사역&nbsp; (寺域)규모가 엄청 넓었음을&nbsp;보여준다.&nbsp;&nbsp;&nbsp; 들머리 노거수 느티나무는 천년의 속병에 거죽만 앙상히 병풍상성(病風喪性)으로 버티고 있다.</div> <div>&nbsp;</div> <div>&nbsp;</div> <div>&nbsp;</div> <div>&lt; 불운의 천재시인 이 달(李達) &gt;</div> <div>이달의 시비가 있는 부론면 손곡리에 왔다.&nbsp; 서자였기에 벼슬도 못하고 홀로 떠들다 많은 시를 남기고 생을 마쳤다.&nbsp;&nbsp; 제자「허균」이 엮은 「손곡집」이 있다. 그중에 한수를 옮겨본다.</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박 조 요&nbsp; (撲 棗 謠)&nbsp;&nbsp;&nbsp;&nbsp;&nbsp;- 대추따는노래 - </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撲 : 두드릴 박&nbsp;&nbsp;&nbsp;&nbsp;&nbsp;&nbsp;棗 : 대추 조</div> <div>&nbsp;</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隣家小兒來撲棗&nbsp;&nbsp;&nbsp;&nbsp;&nbsp;&nbsp; (이웃집 꼬마가 대추 서리를 하는데)</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인가소아래박조)</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老翁出門驅小兒&nbsp;&nbsp;&nbsp;&nbsp;&nbsp;&nbsp; (늙은이 문을 뛰어나와 꼬마를 내쫓는다)</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노옹출문구소아)</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小兒還向老翁道&nbsp;&nbsp;&nbsp;&nbsp;&nbsp;&nbsp;&nbsp;(꼬마가 도망치다가 홱 돌아서더니 욕을 해댄다)</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소아환향노옹도)</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不及明年棗熟時&nbsp;&nbsp;&nbsp;&nbsp;&nbsp;&nbsp;&nbsp;(영감탱이 내년 대추때까진 있지도 못할거면서)</div> <div>&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불급명년조숙시)</div> <div>&nbsp;</div> <div>이웃집 대추를 욕심내 서리를 하러온 아이를 보고 작대기를 들고 나선 노인</div> <div>˝ 네 이놈! 게 섰거라˝&nbsp;&nbsp; 노인의 서슬에 감짝놀라 달아나던아이가 약이 올랐는지</div> <div>홱 돌아서서 소리지른다&nbsp;&nbsp;&nbsp; ˝ 영감탱이! 내년엔 뒈져라! ˝ 라고.&nbsp;&nbsp;&nbsp;&nbsp;&nbsp; 늙은이가 아무리 잰걸음으로 쫓아와도 꼬마는 얼마든지 달아날 자신이 있을테니까.</div> <div>&nbsp;</div> <div>나의 초등학교 시절얘기다&nbsp;&nbsp; 4km&nbsp;넘는 읍내 학교에서 돌아오다 배가고파 마을앞 뽕밭에 벌떼처럼 몰려가 오디를 따 먹었다.&nbsp;&nbsp;&nbsp; 노인네가 소리치며 달려온다.&nbsp;&nbsp;&nbsp;&nbsp; ˝ 네 이놈들! ˝&nbsp;&nbsp;우리는 노인이 가까이 올때까지 여유있게 따먹는다.&nbsp;&nbsp; 바로 눈앞에 다가왔을때 사방으로 흩어 도망친다.&nbsp;&nbsp;&nbsp; 힘없는 노인은 누굴 잡아야할지 막대기만 휘두르며 허둥거린다.&nbsp; ˝ 나 잡아봐라 ˝</div> <div>하고 달아난 기억이 되살아난다.</div> <div>&nbsp;</div> <div>&lt;패자의 눈물&gt;</div> <div>이번 탐방의 마지막 코스로 손위실(遜位室)&nbsp; 마을앞에 모였다. 고려 공양왕이 이성계에게</div> <div>왕위를 빼앗기고 쫓겨온 골짜기다. 실록에는 원주로만 기록되어있고&nbsp; 어느곳에서&nbsp; 얼마간 머문 기록은 없다.&nbsp; 마을 노년층에서 손곡리를 손위실이라고 부르고 마을뒷산을 망경산</div> <div>(望京山) ,&nbsp;배앙산(拜仰山)&nbsp; 이라 불렀다.&nbsp;&nbsp;&nbsp;&nbsp; 망경산은 개경을 하염없이 바라보던 산이고</div> <div>배앙산은 고려의 옛땅에 절을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을 남기고 있다.</div> <div>&nbsp;</div> <div>&nbsp;</div> <div>&lt;맺 는 말&gt;</div> <div>패자의 눈물이 맺혀있는 손위실 마을앞에서 길위의 인문학 마지막 일정을 마치고 버스에</div> <div>올랐다.&nbsp;&nbsp;&nbsp; 그동안 국립중앙도서관과 쏙쏙체험의 진행에 만족하였고&nbsp;&nbsp; 길에서 맺은 인연&nbsp;</div> <div>더욱 잊을수&nbsp;없다.&nbsp;&nbsp;새해에는 새로운 행사로 만나길 바라며 모든분께 감사 드립니다.</div> <div>&nbsp;</div>
목록
이전글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에서 진단 중 입니다. 이전글 강원 원주,횡성을 다녀와서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