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50nam a2200301 c 4500001001300000005001500013008004100028040001100069052002900080245017400109300002300283545005300306545005300359545005300412545004100465545004100506545005000547545005300597653005200650700001900702700004800721700001400769700004800783700001400831700003600845700003600881773013100917KSI00005299520031206191456031111s2002 bnk 000 kor  a01100101a497.05b한556ㅎc15(3)00a넙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미치는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효과/d양병규,e전유진,e정용욱,e김세권,e안창범,e신태선,e허문수 ap. 149-150;c26 cm a양병규,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a전유진,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a정용욱,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a김세권, 부경대학교 화학과 a안창범, 부경대학교 화학과 a신태선,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a넙치a분리a유산균a키토산a분자량1 a양병규4aut1 a전유진,g全裕珍,d1964-0KAC2015088121 a정용욱1 a김세권,g金世權,d1948-0KAC2013229821 a안창범1 a신태선,d1959-0KAC2017251691 a허문수,d1964-0KAC2013319070 t韓國魚病學會誌.d韓國魚病學會.g15권 3호(2002년 12월), p. 149-150q15:3<149w(011001)KSE199500753,x1226-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