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멸 위기의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 한국어 계통 연구와 알타이언어 보존을 위하여 한국알타이학회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06
형태사항
270 p.: 천연색삽화; 25 cm
총서사항
(알타이학회 언어 문화 연구=(The)language and cultural studies series; 2)
주기사항
권말부록으로 "절멸 위기에 처한 언어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기관과 그 활동" 수록 서지: 참고문헌: p. [261]-263, 색인수록 기금: 2003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KRF-2003-072-AL2002)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 KMO200607830
목차 머리말 = 3 제1장 한국어의 계통과 알타이언어 연구 = 9 1. 연구 방법 = 9 2. 연구 성과 개황 = 11 3. 연구 분야 = 13 4. 알타이어족설의 영향과 극복 방안 = 22 5. 알타이언어의 새로운 연구 방향 = 24 6. 요약 = 26 제2장 언어의 절멸과 현대언어학의 과제 = 27 1. 언어의 절멸의 예 = 27 2. 언어 절멸의 의미와 현황 = 43 3. 절멸 위기의 언어를 보존하려는 세계 언어학계의 노력 = 47 4. 한국알타이학회와 REAL 프로젝트 소개 = 50 제3장 알타이언어의 분류와 사용 인구 = 57 1. 만주퉁구스어파 = 61 2. 몽골어파 = 66 3. 튀르크어파 = 74 제4장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의 방법과 과정 = 97 1. 준비 = 97 2. 현지 조사 = 100 3. 조사 내용 = 104 4. 녹음과 녹화 = 104 5. 질문지 = 109 제5장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 자료의 가공 = 123 1. 음성파일 변환과 마킹 = 123 2. 영상파일의 변환과 마킹 = 129 3. 전사 = 134 4. 음성 영상 DB 웹 서비스 구축 = 139 5. 정보 공유를 위한 작업 게시판과 FTP = 145 제6장 한국알타이학회 보유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 자료 = 147 1. 제1차년도(2003년 9월~2004년 8월) = 147 2. 제2차년도(2004년 9월~2005년 8월) = 149 제7장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의 실제 = 153 1. 현지 조사의 실제(2003년~2006년 2월) = 153 2. 현지 조사 예정 언어(2006년 3월~8월) = 203 [부록] 절멸 위기에 처한 언어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기관과 그 활동 = 209 (1) 지역별 연구 기관 = 213 (2) 언어 보존을 위한 연구 지원 기관 = 249 (3) 연구 기관 네트워크 및 공동체 = 253 참고문헌 = 261 지도: 알타이언어 사용 지역 = 264 찾아보기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