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노동과 발전의 사회학 = Sociology of labor and development
- 표제/저자사항
- 노동과 발전의 사회학 = Sociology of labor and development / 한국산업사회학회 엮음
한국산업사회학회
- 발행사항
- 서울: 한울, 2003
- 형태사항
- 409p.; 23cm
- 총서사항
- (한울아카데미; 501)
- 주기사항
- 김진균 교수 정년기념 논총으로 기획됨
참고문헌수록
- 표준번호/부호
- ISBN 89-460-3065-8 93330: \25000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 330.5 듀이십진분류법-> 301
- 주제명
- 사회 비평[社會批評] 노동 사회학[勞動社會學]
- 자료실 이용안내
- 국립중앙도서관(디지털열람실 예약 후 이용),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립세종도서관, 협약도서관(공공, 대학, 전문/특수, 해외, 작은도서관) 내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서문 = 3
제1부 노동과 정보화
문화와 노동은 서로 타자인가 / 안정옥 = 15
1. 문제의 지형 = 15
2. 1848년과 '일할 권리' = 19
3. 근대 노동체제, 산업의 승리와 '게으를 권리' = 21
4. 20세기 미국, 소비에 의해 매개된 노동과 여가의 통합 = 24
5. 현실의 변화 속에서 발견하는 미래 = 28
일본의 비정규노동자들은 어째서 만족해하는가 / 정이환 = 31
1. 머리말 = 31
2. 비정규노동자의 규모 및 분포 = 32
3. 비정규노동자의 직무만족도 = 37
4. 비정규노동자에 대한 국가 정책 = 39
5. 비정규노동자와 노동조합 = 43
6. 비정규 노동에 대한 노무관리와 근로조건 = 45
7. 토론 = 52
8. 맺음말 : 몇 가지 정책적 함의 = 55
전국금속노조 지역지부의 조직과 운영 : 경남 1·2지부의 사례 / 조효래 = 63
1. 머리말 = 63
2. 전국금속노조 경남 1·2지부의 조직현황과 조직체계 = 65
3. 지역지부와 사업장지회의 관계 = 72
4. 조합민주주의 : 조합원 참여와 조직적 분파 = 85
5. 맺음말 = 96
민주노조운동과 교회 : 개신교 산업선교를 중심으로 / 김준 = 101
1. 문제제기 = 101
2. 기존연구의 검토 = 102
3. 첫번째 전환점 : 산업전도에서 산업선교로(1968)? = 107
4. 두번째 전환점 : 계몽자에서 조직자, 투쟁의 주체로(1973)? = 114
5. 결론을 대신하여 = 128
제2부 발전과 복지
중국과 동아시아 발전모델 / 백승욱 = 135
1. 머리말 = 135
2. 동아시아 발전 모델을 통해서 본 중국적 발전의 길 = 139
3. 중국적 발전모델 = 150
4. 결론 = 171
영국의 사유화는 한국의 모델이 될 수 있는가? / 박노영 = 179
1. 머리말 : 문제제기 = 179
2. 노동당 정부에 의한 대대적인 국유화 = 181
3. 공기업의 문제점에 관한 논의들 = 183
4. 보수당 정부하에서의 사유화 = 190
5. 사유화의 성과 : 엇갈리는 평가들 = 196
6. 맺음말 : 영국은 모델이 아니고 사유화는 처방이 아니다 = 201
계급, 시민적 사회참여, 그리고 복지의식 / 이성균 = 209
1. 서론 = 209
2. 복지의식과 사회집단 = 211
3. 연구자료 및 변수화 = 216
4. 분석결과 = 219
5. 결론 = 228
제3부 현대사 인식의 쟁점들
해방후 한국의 일본 인식 / 윤건차 = 235
1. 한국에서의 일본, 일본에서의 한국 = 235
2. 해방후의 반일적 민족의식 = 238
3. '교과서 검정문제'와 피식민지 의식의 성찰 = 241
4. '친일파'의 폐해와 일본연구의 부진 = 245
5. '망언'이 부추기는 '반일'폭풍과 '한일공동선언' = 250
6. 한일에서의 역사인식 낙차 = 256
과거청산과 역사바로세우기 : 해방공간의 식민잔재(친일) 청산을 중심으로 / 강정구 = 262
1. 머리말 = 262
2. 해방공간과 친일청산 = 263
3. 친일청산의 지향 = 265
4. 친일청산의 내재적 역량 = 267
5. 해방공간 친일청산의 좌절 = 268
6. 과거청산과 역사바로세우기 준거틀을 위한 방법론 = 277
7. 과거청산과 역사바로세우기 = 282
전쟁과 근대화 : 한국과 남베트남 비교, 1961∼1965 / 정일준 = 287
1. 문제제기 : 근대화, 미제국의 제3세계 통치기획 = 287
2. 미제국과 남베트남의 좌절된 근대화, 1961∼1963 : 전략촌 건설기획의 명암 = 289
3. 미국과 남한의 '성공한' 근대화, 1961∼1965 : 조국근대화 기획의 이륙 = 303
4. 한국과 남베트남의 상이한 근대화 효과 : 이상과 현실 = 309
5. 결론 : 죽지 않는 근대화기획 = 312
제4부 공동체와 지역
대도시 지역공동체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 아파트공동체운동과 철거민공동체운동을 중심으로 / 장세훈 = 321
1. 왜 지금 지역공동체운동인가? = 321
2. 지역공동체운동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325
3. 지역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 = 328
4. 요약 및 분석의 함의 = 343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자활공동체의 성격과 발전 방향 / 한상진 = 352
1. 현단계 자활공동체를 둘러싼 정책의 추이 = 352
2. 사회적 기업의 유형과 자활공동체의 구분 = 356
3. 자활공동체의 쟁점과 발전방향 = 358
지방분권운동의 현황과 과제 / 홍덕률 = 366
1. 실패로 끝난 김대중정부의 지방분권화 정책 = 366
2. 지방분권운동의 전개 = 370
3. 지방분권운동의 과제 = 378
4. 나오면서 = 384
지역재구조화와 도시체제 : 미국 산업도시들의 비교분석 / 조형제 = 388
1. 머리말 = 388
2. 분석틀 = 389
3. 미국 산업도시들의 지역재구조화 = 394
4. 맺음말 = 404
펼쳐보기
책소개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가 추천하는 책소개입니다.
펼쳐보기
※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출판사 서평입니다.
펼쳐보기
알림
바구니 담기가 완료 되었습니다.
‘바구니’로 이동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