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제/저자사항
- (再發掘)한국獨立運動史 / 한국일보社 編著.3
한국일보
- 발행사항
- 서울: 한국일보社, 1989
- 형태사항
- 304p.; 23cm
- 주기사항
- 국립중앙도서관 원문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됨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 911.063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자료실 이용안내
- 국립중앙도서관(디지털열람실 예약 후 이용),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립세종도서관, 협약된 공공도서관 내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第Ⅲ篇 國內에서의 鬪爭 / 愼鏞廈 = 33
新民會 = 35
귀국한 安昌浩, 梁起鐸에 비밀결사 提議 = 35
日帝도 놀란 치밀한 縱線 조직 = 38
新敎育救國運動 전개로 民族 간부 양성 = 40
성과 거둔 愛國啓蒙講演運動 = 42
滿洲에서 세운 최초의 武官學校 = 45
「105人事件」으로 해체된 新民會 = 47
大韓光復會 = 50
新民會·大倧敎系의 민족주의자들이 合作 = 50
전국에 商會조직망, 獨立軍 자금 조달 = 52
3·1運動 = 56
上海 新韓靑年黨, 國內外에 密使 파견 = 56
3·1運動의 序曲이 된 「2·8獨立宣言」 = 59
東·西學, 佛敎, 學生團 등 4大 세력 聯合 = 61
7千餘名 사망한 2百萬 겨레의 萬歲 시위 = 63
전세계에 과시한 韓民族의 獨立意志 = 66
弱小民族의 蜂起 촉진한 3·1운동 = 68
朝鮮物産奬勵운동 = 71
대성황 이룬 물산장려 巡廻강연 = 71
「國産品愛用」,「民族企業育成」투쟁 = 73
民立大學設立운동 = 77
「國債報償運動募金」등 바탕으로 設立 추진 = 77
大水災와 日帝의 협박으로 霧散 = 79
言論을 통한 獨立鬪爭 = 83
民族紙의 잇단 停刊 = 83
全朝鮮記者大會 개최 = 86
報道管制 무시,「光州學生運動」보도 = 88
日章旗 말소로 李吉用 등 9명 拘束 = 90
愛國婦人會 = 93
大韓民國愛國婦人會 = 93
大韓民國愛國婦人會聯合會 = 96
6·10萬歲운동 = 99
민간· 학생 두 갈래 세력, 極秘裡에 決行 = 99
大輿 지나는 곳마다 격렬 示威 = 101
新幹會 = 105
전국의 主要民族幹部 4萬여 명 참여 = 105
지방 巡廻강연으로 民族意識 고취 = 108
東拓 규탄, 日本商品 不買운동 등 별여 = 111
完全獨立 지향한 첫 左右合作 단체 = 113
槿友會 = 117
全國女性團體 통합, 獨立정신 고취 = 117
女性啓蒙運動 전개, 독립운동도 지원 = 120
抗日農民운동 = 123
전국의 小作人들 結集, 日帝 收奪에 抗拒 = 123
日會社 地主들에 맞서 小作料 不納 투쟁 = 125
朝鮮農民總同盟의 결성 = 128
8·15 때까지 계속된 抗日農民운동 = 131
抗日勞動운동 = 134
朝鮮勞動共濟會의 창립 = 134
勞組의 조직과 同盟罷業을 지도 = 137
「勞動」「農民」으로 分立된 「勞農總同盟」 = 139
元山 총파업 석 달, 노동자 團結 과시 = 141
光州學生獨立운동 = 145
억눌렸던 憤怒 폭발, 市街서 白兵戰 = 145
11월 12일의 두 번째 蜂起 = 148
확산되는 示威, 同盟休學 잇달아 = 150
3·1運動 이후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 = 152
朝鮮語學會 = 156
한글抹殺政策에 대항하여 民族魂 수호 = 156
3년간의 刻苦 끝에 「맞춤법통일안」완성 = 158
建國同盟 = 162
呂運亨 등이 極秘裡에 결성한 비밀결사 = 162
不屈의 투지로 전개한 국내 최후의 독립운동 = 165
第Ⅳ篇 左翼의 鬪爭 / 金昌順 = 169
上海派 高麗共産黨 = 171
李東輝의 「韓人社會黨」서 起源 = 171
軍備 확보, 無産群衆 교육 강조 = 174
이르쿠츠크派 高麗共産黨 = 177
全러시아의 韓人을 組織基盤으로 구성 = 177
上海派와 치열한 主導權 싸움 = 180
高麗共産黨의 派爭 = 183
上海派의 코민테른 加入, 蘇 자금 받아 = 183
霧散된 高麗共産黨聯合大會 = 185
朝鮮共産黨 창립 以前 = 188
民族 인텔리들이 주도한 左·右翼운동 = 188
民族陣營에 충격 준「階級解放鬪爭」 = 191
朝鮮共産黨의 組織 준비 = 193
蘇, 韓人政策 전환에 따라 「高麗局」 설치 = 193
國內·海外派 암투로 「오르그뷰로」해체 = 195
朝鮮共産黨의 결성 = 199
記者大會로 日警 따돌리고 朝共黨 결성 = 199
正友會宣言으로 民族陣營과 합작 = 201
朝鮮共産黨 滿洲總局 = 205
上海·火曜派 규합 結成 = 205
在滿 단체 통합 「民族唯一黨」 실현 추구 = 207
코민테른과 朝鮮共産黨 = 210
勞動者·貧農 위주 黨再建 지령 = 210
잇단 檢擧로 8·15 때까지 再組織 실패 = 212
韓中抗日連帶 = 215
中日戰爭 발발하자 朝鮮人들 抗日 궐기 = 215
中共黨에서 韓人武力 적극 迎入 = 217
滿洲抗日組織의 韓人들 = 221
朝共黨 해체 후에 人民革命軍 창설 = 221
東北抗日聯軍으로 전환된 人革軍 = 223
無政府主義운동 = 227
革命鬪爭으로 民族解放 지향 = 227
丹齋, 獨立運動의 原理로 「朝鮮革命宣言」 = 230
第Ⅴ篇 日本에서의 鬪爭 / 田駿 = 233
2·8獨立宣言 = 235
윌슨의 民族自決原則에 고무 = 235
3·1運動을 點火시킨 2·8獨立宣言 = 238
테러活動 = 241
2·8獨立宣言 이후 地下運動으로 변모 = 241
잇단 要人 暗殺 企圖로 抗日 의지 높여 = 243
組織운동 = 247
共産·無政府系 대립으로 離合集散 = 247
小클럽 단위의 운동을 전개 = 250
第Ⅵ篇 美洲에서의 鬪爭 / 徐大肅 = 253
韓日合倂 前後 = 255
安昌浩 등의 지도로 國民會 조직 = 255
獨立軍 양성 목적으로 軍事訓練 실시 = 257
3·1運動 前後 = 261
朴容萬·李承晩, 金錢 문제로 派爭 = 261
3·1運動 후 총단결, 外交·弘報 활동 = 263
日의 中國 침략 前後 = 266
公債票 팔아 獨立資金 모아 = 266
資金 문제로 不和, 하와이 떠난 李承晩 = 268
2次大戰 발발 前後 = 271
僑民 성금으로 尹奉吉 의거 지원 = 271
團合·分裂 되풀이, 抗日엔 일치 = 273
(續) 中國 本土에서의 鬪爭 / 姜萬吉 = 277
朝鮮獨立同盟 = 279
華北朝鮮靑年聯合會 결성 = 279
中國共産軍 원조 아래 獨自 조직 = 282
朝鮮獨立同盟의 성립 = 285
白凡·若山과의 聯合을 위해 노력 = 287
勇猛性 과시한 朝鮮義勇軍 = 290
괄목한 戰果 올린 日軍 상대 心理戰 = 292
建國綱領 = 295
三均主義 바탕으로 趙素昻이 草案 = 295
左·右翼의 聯合을 위한 布石 = 297
復國 과정 3단계 完成 제시 = 299
民族國家 건설의 3단계 과정 제시 = 302
펼쳐보기
책소개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가 추천하는 책소개입니다.
펼쳐보기
※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출판사 서평입니다.
펼쳐보기
알림
바구니 담기가 완료 되었습니다.
‘바구니’로 이동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