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Ⅰ. 농촌 - 농업부문의 중요성 = 14
Ⅱ. 사회학적 과제와 지향 = 17
제2장 근대화 이론적 접근
Ⅰ. 근대화와 구조적 분화과정 = 22
Ⅱ. 경험적인 적용의 문제 = 28
인도 남부지방에 있어서 근대 관개농업의 영향 = 30
기술 - 경제적 변동에 따른 구조적 변동 = 32
중앙 아프리카 지역에 있어서의 기술적 변동 = 36
Ⅲ. 변동과 지속성의 문제 = 39
Ⅳ. 근대화 이론 및 방법론상의 일반적인 한계 = 42
일반적인 제한점 = 42
사회변동에 대한 농촌 - 도시의 개념화 = 50
Ⅴ. 경제적 이중구조 = 57
제3장 발전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장애와 필요조건
Ⅰ. 문화적 장벽으로서의 한정적 재화의 관념 = 60
Foster의 이론 = 60
개념 및 분석상의 문제 = 66
Ⅱ. 축제(fiesta)체계 : 발전의 장애로서 특정한 제도에 대한 규명 = 73
Ⅲ. 발전의 구조적 여건과 필요조건 = 78
발전의 일반적인 필요조건 = 78
필요조건으로서의 종교적 금욕주의와 합리성 = 82
Ⅳ. 제3세계와 관련한 Weber 논지의 비판 = 89
제4장 구조적 종속과 생산양식의 분석
Ⅰ. 구조적 종속과 종주 - 위성관계 = 96
Frank의 이론 = 96
최근의 몇 가지 경험적 연구 = 101
이론적·방법론적인 문제 = 109
Ⅱ. 생산양식에 관한 분석 = 118
생산양식에 관한 연구동향 = 118
페루 고지대의 생산양식 = 121
Ⅲ. 결론 = 129
제5장 변동에 대한 상이한 반응 : 기업가 정신의 분석
Ⅰ. 기업의 경제 및 행위이론 = 134
Ⅱ. 거래적 접근 = 137
원시사회의 교환관계 = 137
인도 남부의 교환부문 = 143
거래, 연결망 및 중개인 = 149
Ⅲ. 의사결정적 접근 = 159
의사결정적 접근의 의의 = 160
콜롬비아 소농들 간의 의사결정 = 162
행위자 지각의 중요성 = 166
의사결정과 기업가 정신 = 167
Ⅳ. 결론 = 175
제6장 계획적 사회변동의 사회학적 과제
Ⅰ. 개선적 접근 = 178
인도의 지역사회 개발사업 = 182
개선적 전략의 일반성과 = 189
Ⅱ. 개혁적 접근 = 192
정착 및 재정착계획 = 193
토지개혁의 역할 = 197
Ⅲ. 한국의 농촌개발 유형 = 210
지역사회 개발사업 = 211
농촌지도사업 = 214
새마을운동 = 217
농지개혁 = 225
Ⅳ. 결론 = 229
제7장 결언 = 232
참고문헌 = 241
편역에 참고한 문헌 = 255
인명색인 = 257
사항색인 = 260